[건축정보] 전원주택은 '설계'가 반이다? 고려할 것들은?
페이지 정보
조회629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전원주택 신축의 장점은 우리 가족이 원하는 공간들을 동선에 맞추어 시공할 수 있다는 것이
굉장히 큰 매력입니다. 벽지, 조명, 주택 외장재 하나하나 우리 가족의 취향이 담겨 더욱 애뜻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무턱대고 비전문가인 사람들이 원하는대로 공간을 만든다면, 동선을 고려하지 못하고 공간을 구성하거나,
해가 잘 들어오지 않는 위치에 창문이 있어 내부 채광이 부족하거나 하는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전원주택설계를 할 경우에는 우리 가족의 생활패턴과 우리들의 바람을 잘 이해하고 있는 전문가의 조언을 따르는 것이 좋겠습니다.
전원주택은 '누가' 사는 곳인가에 따라 달라져야 합니다. 만약 초등학생 아이들이 있는 곳이며,
대지의 면적이 좁은 경우에는 2층 주택을, 연로하신 부모님이 거주하실 공간이라면 단층주택과
동선이 짧은 구조를 고려하셔야 합니다.
삼대가 함께 사는 경우에는 함께하는 공용공간이 나뉘어진 공간에서 동선이 짧고,
프라이버시가 지켜질 수 있는 설계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때문에 우선적으로는 누가 거주하며,
어떤 형태로 설계하는 것이 우선시되어야 하는지를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실 이 부분은 굳이 설명을 하지 않아도 좋다는 것을 알고 계실겁니다. 여름에는 햇빛이
얕게 들어오고 겨울에는 햇빛이 깊게 들어와 냉/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분들께서
남향을 선호하십니다. 하지만 부득이하게 대지의 상황에 따라 남향으로 설계/시공이 불가능 할 수 있습니다.
그럴 경우에는 동향도 좋은 방향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아침에 햇빛을 받으로 일어날 수 있답니다.
집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것, 바로 '동선'입니다.내가 생활하는 동선에
따라서 방이나 가구의 배치를 다르게 해줘야 하는 것처럼, 방의 위치,
주방과 거실을 연결형태로 할 것인지 분리 형태로 할 것인지, 주방의 조리대를 ㅡ자로 할지,
ㄱ자로 할지 등 하나부터 열까지 건축주님의 동선을 고려하여 시공해야 합니다.
오늘은 한글주택에서 시공한 사례들을 바탕으로 전원 주택 설계 시 꼭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사실 이보다 더 많은 것들을 고려해야 하지만, 기본적으로 쉽게 정할 수 있는 것들만이라도 생각해두신다면,
설계사무소와 미팅을 진행할 때보다 수월하게 진행이 가능하실 것으로 판단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